1. 천연 비료 종류와 사용법
비료 종류 | 특징 | 사용법 | 주의사항 |
퇴비 (부숙유기물) |
음식물 쓰레기, 낙엽 등 유기물 발효 |
작물 심기 전 2~3주 전에 흙과 혼합 |
완전 부숙 필요, 악취 발생 가능 |
액비 (발효 액체 비료) |
어분, 음식물, 인분 등 발효한 액체 |
10~20배 물에 희석 후 관주 | 발효 과정에서 가스 발생 주의 |
계란껍질 | 칼슘 풍부, 산성 토양 중화 | 잘게 부수거나 말려서 분말로 사용 |
세척 및 건조 필수 (악취 방지) |
커피 찌꺼기 | 산성, 해충 기피 효과, 질소 함유 |
말려서 흙 위에 얇게 뿌리기 | 곰팡이 생기기 쉬워 완전 건조 필수 |
바나나 껍질 | 칼륨·인 풍부 (개화·결실기 비료) | 말려서 분말로 쓰거나 퇴비에 섞기 |
그냥 묻으면 벌레 유입 가능 |
깻묵 | 질소, 인, 칼륨 포함 / 기초비료용 | 파종 전 밭에 고루 뿌리기 | 가루 상태는 반드시 흙과 섞어야 함 |
계분 (닭똥 비료) |
질소가 풍부, 작물 생장에 도움 | 소량을 흙에 섞어 미리 숙성 | 과다 사용 시 뿌리 손상 위험 |
2. 천연 비료 관리 및 보관 방법
항목 관리 요령
퇴비 | 부직포 자루나 통풍되는 포대에 담아 통풍 잘 되는 곳 보관 (햇빛 X) |
액비 | 밀폐 용기에 담아 서늘하고 그늘진 곳 보관. 2~3개월 내 사용 |
계란껍질 | 깨끗이 씻어 말린 후 분쇄해서 밀폐용기 보관 |
커피 찌꺼기 | 바짝 말려서 곰팡이 방지, 종이봉투 또는 밀폐 용기 보관 |
바나나 껍질 | 말린 뒤 분쇄하거나 액비로 담가 밀폐 보관 |
깻묵/계분 | 습기 피하고 마른 장소에 밀봉 저장. 쥐나 벌레 침입 주의 |
보관 팁
- 라벨 부착: 비료 종류와 제조일 표기
- 습기 제거제: 실내용 보관 시 습기 방지제로 함께 보관
- 냄새 문제: 주방·실내 보관 시 반드시 밀폐 필요
3. 집안에서 천연 비료 사용하는 방법
장소 사용 비료 사용 방법 주의사항
화분 | 계란껍질, 커피 찌꺼기, EM | 표면에 얇게 뿌리거나 흙과 혼합 | 두껍게 뿌리면 곰팡이 가능성 |
베란다 텃밭 | 액비, 바나나껍질 분말 | 10~20배 희석 후 작물 주기 | 냄새나는 액비는 야외에서 제작 후 사용 |
수경재배/물비료 | EM발효액 | 희석하여 일주일에 한 번 영양 공급 | 농도 주의 (농도 높으면 뿌리 손상) |
추천 비율 예시 (실내용 기준):
- 커피 찌꺼기: 흙 1L당 1큰술
- 계란 껍질: 잘게 부순 가루 1작은술
- 액비: 물 1L + 액비 50~100ml 희석
- EM: 물 1L + EM 1~2ml
4. EM 사용법 및 어디서 받을 수 있는지
📌 EM(Effective Microorganism)이란?
유용 미생물(효모, 유산균, 광합성균 등)의 혼합물로, 퇴비 발효 촉진, 악취 제거, 토양 개선, 해충 억제 등에 활용됩니다.
🧪 EM 사용법 요약
사용처 희석비율 사용 방법
화분, 텃밭 물주기 | EM 1 : 물 1000 (즉 1L 물에 1ml) | 주 1~2회 관주 |
잎 뿌리기(분무) | EM 1 : 물 500 | 병해충 예방용, 2주 1회 |
퇴비 발효용 | 음식물 1kg당 EM 50ml | 퇴비 만들 때 섞기 |
실내 청소/탈취 | EM 1 : 물 100 | 뿌려 닦거나 바닥 청소에 사용 가능 |
🛍️ EM 어디서 구하나요?
지자체 환경센터 / 농업기술센터 | 예: 서울 은평구 EM센터, 인천 서구 자원순환센터 | 무료 (용기 지참 필수) |
온라인 쇼핑몰 | 쿠팡,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등 | 유료 (1L 약 3,000~6,000원) |
친환경 카페 / 블로그 | “텃밭가꾸기”, “도시농부” 등 커뮤니티에서 분양 | 무료 또는 교환 |
📝 끝으로.
- 계란껍질, 커피 찌꺼기, 바나나 껍질도 천연 비료로 활용 가능
- 실내용 사용 시는 냄새·벌레 관리가 핵심
- EM은 천연비료의 친구! → 발효, 살균, 성장 촉진 다 가능
'텃밭 농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완두콩 파종부터 수확까지 (0) | 2025.04.09 |
---|---|
마늘 파종 및 키우고 관리하는 방법 (1) | 2025.04.08 |
영양부추 키우는 방법 (3) | 2025.04.08 |
유기질 퇴비 만들기 방법 및 활용 (0) | 2025.04.08 |
씨앗 파종 후 웃자람이 생기기 쉬운 작물 & 해결 방법 (0) | 2025.04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