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심기 전 밑작업 (토양 준비)

시기: 4월 말~5월 초 (저는 양평에서 6월말에 심었는데 잘 자랐습니다.)
장소: 햇볕이 잘 드는 곳, 물 빠짐 좋은 밭
- 밭갈이: 파종 2주 전 깊이 20~30cm 밭갈이
- 퇴비: 퇴비 1평당 10kg + 석회 100g
- 기비(밑거름):
- 질소(N) : 인산(P) : 칼리(K) = 2:4:2 비율
- 예: 1평당 복합비료 50~80g
3평 밭이라면, 퇴비 30kg, 석회 300g, 복합비료 150~240g 준비합니다.
2. 파종 방법

- 시기: 5월 초~5월 중순 (서리 걱정 끝난 후)
- 방법:
- 60cm 간격 이랑 만들고, 구멍은 줄 간격 15~20cm
- 한 구멍에 2~3알 파종 (발아율 감안)
- 파종 깊이 3~4cm
- 파종 후 가볍게 흙 덮고 물 주기
폭 60cm의 이랑을 만들고, 그 위에 15cm 간격으로 구멍을 파고 서리태콩 3알씩 심습니다.
3. 추비(웃거름) 주는 시기
콩은 질소고정 작물이라 질소 과다 주면 도복 위험 있음.
하지만 서리태는 크기 때문에 일정량의 추비 필요.
- 1차 추비: 파종 후 20일 (초기 생육 촉진)
- 질소 위주 소량 (1평당 요소 10g)
- 2차 추비: 꽃 피기 전 (개화 전)
- 칼리 중심 (1평당 염화칼륨 20g)
3평 밭이라면, 1차 추비 시 요소 30g, 2차 추비 시 염화칼륨 60g 줍니다.
4. 물주는 요령
- 파종 직후: 충분히 물 줌
- 생육기(6~7월): 건조하면 주 1회 깊게 관수
- 개화기꼬투리 맺는 시기(7월 중8월): 가뭄 금지! 수량 영향 큼
- 수확 전 2주: 물 주지 않음 (건조시켜 수확 용이)
비가 1주일 이상 없으면 1회 관수. 특히 7~8월 꼬투리 형성기엔 꼬박꼬박 확인!
5. 순지르기 시기 및 방법

순지르기란?
식물의 주 줄기나 곁가지의 끝을 잘라내는 작업
⇒ 지나친 키 성장 방지 + 곁가지 발생 유도
⇒ 통풍 및 햇빛 투과 개선 → 꼬투리 잘 맺음
서리태콩 순지르기 시기
- 적기: 키가 30~40cm 정도 자랐을 때
- 대략 파종 후 30~40일경 (6월 초중순)
- 너무 일찍 하면 생육 부진, 너무 늦으면 효과 미미
순지르기 방법
구분 설명 대상 주 줄기(주간)의 꼭대기 순 도구 가위 또는 손톱 (깨끗이 소독) 방법 꼭대기 새순을 1마디 정도 제거 한번만 순지르기는 1회만 실시 (과도하면 수확량 감소) ⚠️ 곁가지는 자르지 않음 → 곁가지에서 꼬투리 맺힘
순지르기 후 관리
- 순지른 뒤 1주일간 충분한 수분 공급
- 웃자람 멈추고 곁가지 발달 + 꽃봉오리 생김
- 이후 지주대로 유인하여 넘어지지 않게 고정
⛔ 순지르기 하지 말아야 할 경우
- 이미 꽃이 핀 상태
- 키가 작고 생장이 더뎠던 개체
- 가지 수가 너무 적은 개체
6. 지주대 설치

서리태는 키가 크고 꼬투리 많아 무게가 실리면 도복 위험
따라서 지주대 필수
- 방법:
- 파종 2~3주 후, 키 20cm쯤 자랐을 때
- 대나무, 철사망 등 활용
- 포기마다 지주대 세우고 끈으로 유인
이랑마다 대나무 지주대를 꽂고, 2~3포기를 한 줄로 유인해
엮어줍니다.
7. 수확 시기 및 방법

- 시기: 9월 중순~10월 초 (꼬투리 검게 마르고 흔들면 콩 소리 남)
- 방법:
- 비 오기 전 수확 → 맑은 날 마른 채 베어 말림
- 베어서 거꾸로 엎어 햇볕에 4~5일 말린 뒤 타작
- 완전히 말린 콩은 햇볕 피해 서늘한 곳 보관
꼬투리가 까맣게 마르고 흔들면 ‘딸랑’ 소리 나요. 이때 비 오기 전날 수확해서 3~4일 햇빛에 말리면 좋습니다.
* 작물중 손이 많이 안가는 것중 하나입니다. 생각보다 쉬우니까 해보시면 재미있으실겁니다.
'텃밭 농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월엔 토란 심기! (0) | 2025.04.13 |
---|---|
딸기 모종 심는 방법부터 수확까지 (0) | 2025.04.11 |
삼동파는 무엇인가? (0) | 2025.04.09 |
열무 파종 시기 및 방법(저는 실패했어요) (0) | 2025.04.09 |
완두콩 파종부터 수확까지 (0) | 2025.04.09 |